[Python] 구글링으로 독학하는 파이썬1

2 minute read

내 마음대로 이해한대로 적었기 때문에 틀릴 수 있음 지적 환영




만약에……………..
변수 a와 b가 있다. a는 3, b는 6이다. 둘의 값을 바꾸고 싶다면?

자바로 풀어보면,

 int a = 3;
 int b = 6;
 int temp = a;
 a = b;
 b = temp;

temp라는 변수를 하나 더 만들어서 바꿔준다.

그러나 파이썬은 ..

>>> a = 3
>>> b = 6
>>> a,b = b,a
>>> print(a,b)
6 3

U4gw
그저 빛…. 갓 파이썬…
공부해본다



1. 파이썬이란?

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. 인터프리터(소스 코드를 바로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환경)식.



2. 설치하기

  • WindowsOS 기준
    난 작성일 기준 최신버전인 3.7.4를 설치하였다.(다음,다음,다음,..끝)



3. 자료형

  • 파이썬은 자바같은 프로그래밍 언어와 달리 데이터(변수)의 형식을 명시하지않고 선언한다.
 >>> 3  
 3   

3을 찍으면 진짜 그냥 3이 찍힌다…..(너무 당연한 소리)

 >>> a = 3 #a라는 변수에 3이란 값을 넣었다.  
 >>> print(a) #파라미터를 출력하는 함수  
 3  
 >>> type(a) #변수 a의 자료형을 출력하는 함수  
 <class 'int'> #int(Integer). 정수형 변수  
 >>> a+3  
 6  
 >>> a = '글자'  
 >>> print(a)  
 글자  
 >>> type(a)  
 <class 'str'> #String...문자열  
자료형이 궁금할수도 있을 것 같아서 적어둔다. (접기/펼치기)
자료형 이름 내용
숫자형 int 양/음의정수.0
  float 실수
  complex 복소수
문자열 str String
리스트 list a = [1,2,3,4,5,…]
튜플 tuple a = (1,2,3,…)
딕셔너리 dict a = {‘a’:1,’b’:2}
집합 set a = {1,2,3,4}
bool(boolean) a = True

셀 병합도 안되는 마크다운 테이블…..심각..



너무 많다… 일단 intstr, list만 외우고 차차 익히자…




4. 함수

4-1. 제어문

- if문
말 그대로 만약 A이면 ㅁㅁ해라~ 아니면 ㅇㅇ해라~

if 조건:
       조건이 참일 때 수행 문장
else:
       조건이 거짓일 때 수행 문장

↑ 이렇게 생겼다. 수행 문장 앞에 탭은 꼭 넣어줘야한다.

 >>> temp = 1  
 >>> if temp == 1: 
 ...     print(temp)
 ... else:
 ...     print(2)
 ...
 1

위 예시의 조건인 temp == 1이 참이므로 temp의 값인 1이 출력된다.



- for문
내가 준 조건에 해당할 때까지 수행해버리라는 뜻이다.
보통 리스트 변수 하나 주고 그 리스트 길이만큼 돌리렴 이런 걸 많이 한다.

for 변수 in 리스트
       수행 문장

리스트 외에 튜플, 문자열(문자열 너가 거기서 왜나와..?)도 된다는데 패스

예제1.

 >>> a = [1,2,3,4,5] #5개의 값을 가진 a라는 리스트 변수를 만들었다.  
 >>> for temp in a: 
 ...     print(temp) #a라는 리스트 변수의 요소 하나(temp)씩 출력해달라는 뜻
 ...
 1
 2
 3
 4
 5

예제2.

 >>> for temp in range(5): 
 ...     print(temp)
 ...
 0
 1
 2
 3
 4

뜬금없는 range() 이 놈은 뭐냐 싶을텐데 외워두면 좋을 것 같다. 많이 쓴다고한다.
봤다면 알겠지만 그냥 0부터 주어진 수 -1만큼 연속된 숫자를 만들어주는 애다.

range(10) → 0,1,2,3,4,5,6,7,8,9
range(1,11) → 1,2,3,4,5,6,7,8,9,10(1을 지정해줘서 1부터 10까지)
range(1,11,2) → 1,3,5,7,9(1부터 10까지 +2)

그냥 range()를 찍어보고싶은데 for문 쓰기 귀찮다면 list(range(1,11,2)) 라고 쓰자.



-while문
for문이랑 비슷한데 조금 다르다… 조건이 참이면 찍어버리라는 놈이다.

while 조건문:
       수행문장1
       수행문장2

 >>> a = 10 
 >>> while(a > 0):
 ...        print(a)
 ...        a-=2
 ...
 10
 8
 6
 4
 2

10부터 시작해서 0보다 클때까지 돌리렴….한번에 2씩 빼면(a-=2, 즉 a=a-2)서~ 라는 뜻이죠
2씩 안빼면 10은 영원히 0보다 크기때문에 영원히 10을 찍어준다…



다음글
구글링으로 독학하는 파이썬2

Categories:

Updated:

Leave a comment